외포항 관광
주변 관광
전등사
단군왕검의 세 왕자가 쌓았다는 정족산 삼랑성(사 적 130호) 내에 위치한 전등사는
창건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고려 왕실의 원찰로서 진종사(眞宗寺)라 불려 왔다.
지금의 전등사란 명칭은 고려 충렬왕 8년(1282)에 왕비 정화궁주가 옥 등잔을 부처님께 바친 데서 생겨났다고 전해진다.
보물 178호인 대웅보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집으로 광해군 13년(1621)에 지어진 조선 중기 건축물로서는 으뜸이며
특히 내부의 불단 위에 꾸며진 닫집의 화려 정치(華麗精緻) 한 아름다움은 건축 공예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고종 3년 병인양요 시 프랑스군에 대항하여 결사 호국의 각오로 전투에 임했던 장병들이 무운을 부처님께 빌기 위해
대웅보전의 기둥과 벽면에 자신들의 이름을 써놓은 흔적이 지금도 곳곳에 남아있다.
보물 179호인 약사전을 비롯한 10동의 건물과, 11세기 중국 북송 때 만들어진 보물 393호인 범종,
유형문화재 26호인 순무 천총 양헌수 승전비, 지방문화재인 7호인 대조루와 실록과 왕실 세보(王室世譜)를 보관했던
장사 각지와 선원 보각지, 전설이 서려있는 나녀상, 열리지 않는 은행나무, 우는 나무 등 많은 고목이 있다.
보물 제178호로 지정된 대웅전은 규모는 작지만 단정한 결구에 정교한 조각 장식으로 꾸며져서
조선 중기 건축물로서는 으뜸가는 것으로 꼽아야 하겠다. 특히, 내부의 불단 위에 꾸며진 닫집의 화려 정치한 아름다움은
건축 공예의 극치를 이루는 것이며, 보마다 용틀임으로 장식되면서 용두가 네 귀퉁이에서 돌출해 나오며
천장 주변으로는 연, 모란, 당초가 화려하게 양각되고 중앙 우물 반자 안에는 보상화문이 가득 채워져 있다.
-
이전글
-
다음글